티스토리 뷰

반응형

도가철학과 관련된 중국의 사상가들로는 노자와 장자가 있으며, 오늘은 이들이 말하는 지와 무지, 즉 앎과 모름이 정확히 무엇인가에 대해 주장했던 내용들에 대해 핵심 명료하게 정리해 보았으니 관심 있는 분들의 참조 바랍니다.

 

도가철학 노자 초상화

 

1. 노자가 말하는 지와 무지

 

 

도가에서는 보통의 사람들이 추구하는 지식이 참된 지식이 아니라, 단지 현상만을 아는 것이라고 비판한다. 이에 대하여 '노자'에서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세상 사람들은 모두 자기가 아름답다고 보는 것만을 아름다운 것으로 알고, 그게 맞지 않는 것은 밉다고 한다. 자기들이 좋다고 보는 것만을 좋은 것으로 알고, 그에 맞지 않는 것은 나쁘다고 한다. 그러므로 있음과 없음은 서로 의존하여 생겨나며, 쉬움과 어려움도 상대적으로 생겨난다. 길고 짧음도 상대적으로 생겨나며, 높고 낮음도 상대적으로 정해진다. 소리와 노래는 서로 화합하며, 앞과 뒤는 서로 따라다닌다. 그러므로 성인은 억지로 함이 없이 일을 하고, 말에 얽매이지 않는 가르침을 편다."

 

2. 장자가 말하는 지와 무지

 

장자는 노자의 사상을 더욱 유려한 문장으로 작은 지식과 큰 지식의 차이를 여러 가지 우화를 동원하여 설명하였다. 인간 지식의 한계를 지적한 유명한 손가락의 비유는 장자로부터 비롯하였다. 다음은 '장자' 소요유 편에서 작은 지식과 큰 지식의 차이를 논한 한 대목이다.

 

도가철학 장자 초상화

 

"작은 자의 지식은 큰 자의 지식을, 짧게 사는 존재는 오래 사는 존재를 이해하지 못한다. 어떻게 그렇다는 것을 알 수 있는가? (하루만 살다 가는) 버섯은 (한 달 중의) 그믐과 초하루를 모르고, (여름만 살다 가는) 매미는 봄과 가을을 모른다. 이들은 짧게 사는 존재들이다. 초의 남쪽에 있는 명령나무는 500년을 가을로 삼는다. 상고에 있었던 대춘 나무는 8000년을 봄으로, 8000년을 가을로 삼는다. 팽조는 요즈음 장수한 것으로 특히 유명하여 많은 사람들이 그와 같아지고자 하니, 또한 슬프지 아니한가!"

 

3. 도가철학에서 말하는 지와 무지 결론

 

노자 및 장자와는 달리 세상 사람들은 아름답고 밉고, 좋고 나쁘고 하는 가치에 대하여 그것이 절대적이라고 생각한다. 그렇기 때문에 자신이 아름답다고 생각하는 것은 절대적으로 아름답다고 여기고, 자신이 밉다고 생각하는 것은 절대적으로 밉다고 여긴다. 그렇지만 모든 가치는 절대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적으로 존재한다. 그렇기 때문에 진리를 알고 그에 따라 사는 성인은 그러한 가치에 휩쓸리지 않는다. 이처럼 현상적인 모든 존재와 가치가 상대적이어서 어느 것도 절대적이지 않다는 것을 아는 것이 참된 지식이다. 도가에서 추구하는 바와 교훈이 바로 이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