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잡학사랑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잡학사랑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145)
    • 철학소개 (24)
    • 삼국지 이야기 (1)
  • 방명록

전체 글 (145)
불교철학 팔정도 뜻

혹시 살아가면서 팔정도라는 개념을 들어보시거나 궁금하신 적이 있으신가요? 오늘은 불교철학을 논의할 때 등장하는 팔정도 뜻이 무엇인지 알기 쉽게 정리해 드리오니, 관심이 있다면 집중해 주시기 바랍니다. 1. 팔정도 뜻과 사성제의 진리 ① 먼저 팔정도의 뜻은 ‘열반에 이르는 여덟 가지 올바른 길’을 말합니다. 이것은 사성제(四聖諦) 가운데 마지막인 도제(道諦)에 속한다. 사성제는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라는 뜻으로, 붓다 석가모니가 깨달음을 얻은 직후 행한 최초의 설법이다. ② 두 번째로 사성제의 네 가지 진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고제(苦諦):사성제의 첫 번째 진리는 고제이다. 이것은 존재하는 것은 괴롭다는 것을 말한다. 이때의 괴로움이란, 고통뿐 아니라 심리적인 불만족까지 포함하는 넓은 의미이다...

철학소개 2024. 2. 25. 00:42
불교 연기설 핵심 정리

불교 철학에서는 여러 가지 개념과 이론들이 있는데, 그중 많은 분들께서 관심 있어하시는 분야가 연기설이라는 소식을 접하고, 연기설의 의의, 특성 등을 알기 쉽게 핵심만 정리해 보았으니 관심 있는 분들의 정독 바랍니다. 1. 불교에서 말하는 연기설 의의 및 인과설과의 비교 붓다 석가모니는 사물의 본성에 대한 탐구 과정에서 인과 과정의 통일성을 발견하였다. 이것을 연기의 법칙이라 하는데, 붓다 석가모니는 이 법칙을 깨달음으로써 모든 번뇌를 끊고 자유를 얻었다고 하였다. 이 연기의 법칙을 당시의 여러 가지 인과설과 비교해 보겠다. (혹시 철학의 정의가 무엇인지부터 먼저 확인하려면 아래 바로가기를 참고하시라.) 철학이란 무엇인가? 당시의 존재하던 여러 가지 인과론은 크게 아래의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① ..

철학소개 2024. 2. 24. 23:40
불교 원효 화쟁사상 핵심요약

한국 불교에 관심이 있는 분들이라면 원효대사의 화쟁사항에 대해서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 텐데요, 오늘은 화쟁론의 핵심적 특징과 중요성에 대해 알기 쉽게 정리했으니, 관심 있으신 분들께서는 집중해 주시기 바랍니다. 1. 원효 화쟁사상 중요성 원효의 화쟁사상은 모든 종파의 사상을 화해시키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전통적으로 중국과 한국 불교의 여러 종파들 사이에는 다른 역사적 배경을 근거로 한 많은 이론들이 있었다. 예컨대, 소송 종파와 대승 종파 사이에는 본질과 현상, 실재와 비실재의 이론에 대하여 많은 논쟁이 있었으며, 각 종파에서는 각기 자신들의 이론이 옳다고 주장하였다. 이에 대해 원효는 독특한 화쟁론을 이용하여 여러 종파 간의 이론적 모순을 해소하여, 이들을 화해시켰다. 본래 붓다 석가모니가 중생들..

철학소개 2024. 2. 24. 22:38
불교 선종의 역사 수행법

불교철학에 관심이 있다면 누구나 한 번쯤 선종에 대해서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그러나 선종의 역사와 수행법에 대한 자료가 드물어서 오늘은 이 부분에 대해 핵심적으로 정리해 보았으니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1. 선종의 역사 선종의 역사를 간략히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기원을 전후한 시기에 중국에 들어온 인도의 불교는 4세기 초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중국 사상계의 전면에 등장하게 된다. 이후 급속하게 세력을 확장한 불교는 5세기 초 구마라습의 불경 번역에 힘입어 대승 불교 철학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하는 다양한 종파를 탄생시켰다. 그리하여 천태종, 화엄종과 같이 중국적인 학문적 이론 체계를 완성한 종파가 등장하기에 이르렀다. 한편으로는 아미타불을 염불함으로써 내세에 극락 왕생하기를 기원하는 정토종과..

철학소개 2024. 2. 24. 21:36
이전 1 2 3 4 5 6 7 ··· 37 다음
이전 다음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