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테오도어 아도르노(1903-1969)

프랑크푸르트 학파를 대표하는 철학자

테오도어 아도르노는 프랑크푸르트 학파를 대표하며, 지배관계에 대해 끊임없이 비판한 독일의 철학자이다. 아도르노의 이론이 우리나라에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1980년대 전후인데, 당시 우리나라는 마르크스와 관련된 서적들이 금서로 취급되는 분위기였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지배관계와 해방 등에 대해서 고민하는 아도르노의 사상은 가뭄의 단비 같은 존재였다고 한다. 그러나 80년대 중반 이후 민주화가 가속화되면서 마르크스를 비롯한 사회주의 사상가들의 서적을 수입하고 읽는 것에 제한이 없어지게 된다. 사정이 이렇게 되자, 다소 난해하고 까다로운 아도르노의 사상은 차츰 인기를 잃어간다. 그러나 날이 갈수록 세상사가 더욱 복잡해지고 전 세계적으로 신자유주의에 의한 빈부격차가 심해지는 상황 속에서, 지배관계에 대해 치열하게 분석을 시도한 아도르노의 이론은 주목해볼 만한 가치가 있다. 호르크하이머와 함께 프랑크푸르트를 대표하는 철학자 아도르노의 난해한 사상을 전부 다룰 수는 없지만, 그의 인생과 사상에 대해 짧게나마 적어보고자 한다. 

우여곡절이 많았던 아도르노

아도르노는 경제적으로 비교적 여유가 있는 집안에서 태어났지만, 인생 전체적으로는 우여곡절이 많았다. 아도르노는 1921년 프랑크푸르트 대학에 입학했으며, 코르넬리우스 교수의 가르침을 받아 후설과 칸트를 연구해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코르넬리우스 교수의 제자 중에는 아도르노보다 여덟 살이 많은 호르크하이머도 있었다. 호르크하이머는 아도르노가 박사학위를 취득할 때 많은 조언을 해준 인물로 둘은 우연히 한 세미나에서 조우한다. 이후 둘은 평생의 학문적 동지가 되며, 훗날 역사에 길이남을 저서인 '계몽의 변증법'을 집필한다. 아도르노는 학위 취득 후 1930년대에 사회조사연구소에서 다양한 학술적 활동과 강의를 펼치며 이름을 알리기 시작한다. 그러나 파시즘 정부가 집권하게 되면서, 아도르노와 호르크하이머를 비롯한 좌파 지식인들은 학자로서 더 이상 활동을 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1934년 아도르노는 영국으로 망명을 결심하고 이를 실행에 옮긴다. 망명 후 학문적 동지인 호르크하이머와 서신으로 꾸준히 연락을 주고받았으며, 1941년 아도르노를 호르크하이머가 있는 캘리포니아로 거처를 옮긴다. 둘은 긴 시간 동안의 연구 끝에, 1947년 철학사에 큰 족적을 남긴 계몽의 변증법을 저술한다. 이처럼 우여곡절이 많았던 아도르노였지만, 이후에는 호르크하이머와 함께 학자로서 왕성한 활동을 펼치게 된다.

지배관계에 대한 끊임없는 비판

아도르노 이론의 핵심을 간단하게 말하자면 지배관계에 대한 끊임없는 비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현재의 지배질서를 고착화하는 모든 형태의 사고방식에 대한 비판을 끈질기게 추구하며, 호르크하이머와 공동으로 저술한 계몽의 변증법에서 인간의 계몽 과정을 역사적으로 분석한다. 계몽은 인간이 자연의 위협으로부터 스스로를 해방시키고자 한 과정으로 요약될 수 있는데, 그는 이 과정에서 비합리적 지배관계는 그대로 두었다고 비판한다. 그리고 이 같은 결과는 우리의 이성이 인류의 자유나 평등이 아닌, 특정 계급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만 사용되었기 때문이라고 본다. 이것이 바로 아도르노가 말하는 '도구적 이성'이며, 그는 이러한 상황에 처한 현대사회를 '관리되는 세계'라고 명명했다. 이러한 세계에서 대중들은 무비판적이고 순응적일 뿐만 아니라, 관리되는 세계를 극복할 동력을 찾을 수 없게 된다. 물론 아도르노가 말하는 관리되는 사회이론을 전 세계에 적용하는 것은 지나친 일반화일 것이다. 노동자들을 포함한 대중들이 무지하고 순응적이어서 사회 변혁이 불가능하다고 말하는 아도르노야말로 지배계급을 정당화하는 지식인 일지 모른다. 그러나 이것이 아도르노의 학문적 가치를 평가절하하는 이유가 될 수는 없다. 그가 연구한 지배관계에 대한 끊임없는 비판과 도구적 이성의 남용은 우리 사회가 어떠한 방식으로 변혁해야 하는지 방향을 제공해 주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가 제시했던 개념들은 지배질서의 모순을 날카롭게 드러내고 있을 뿐만 아니라, 온갖 종류의 억압에 대해 돌아볼 수 있는 무기라고 할 수 있다. 그의 사상을 온전하게 이해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지만, 그의 이론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은 인터넷 검색 등 조금의 노력만 기울인다면 쉽게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 같은 노력조차도 어렵다고 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아도르노가 대중에 의한 사회 변혁을 기대하지 않은 것이 아닐까 생각하며 글을 마친다. 

반응형